본문 바로가기

수능 비문학 지문 - 과학 - 2003년 (5문항)

by      L 2020. 7. 23.
반응형

2009년도 수능 비문학 문제 - 과학 지문

 

[18~2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908년에 아레니우스(S. Arrhenius)는 지구 밖에 있는 생명의 씨앗이 날아와 지구 생명의 기원이 되었다는 대담한 가설인 포자설을처음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이 주장은 검증할 방법이 없었으므로 과학적 이론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후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 노벨상을 받은 크릭(F. Crick)이 1981년에 출판한 생명의 출현에서 포자설을 받아들였지만, 그의 아내조차 그가 상을 받은 이후 약간 이상해진 것이 아니냐고 말할 정도였다.

 

  지구 밖에 생명이 있다고 믿을 만한 분명한 근거는 아직까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의 존재를 사실로 인정하려 한다. 그들은, 천문학자들이 스펙트럼으로 별 사이에 있는 성운에서 메탄올과 같은 간단한 유기 분자를 발견하자, 이것이 외계생명의 증거라고 하였다. 그러나 별 사이 공간은 거의 진공 상태이 므로 생명이 존재하기 어렵다. 외계 생명의 가능성을 지지하는 또한 가지 증거는 운석에서 유기 분자가 추출되었다는 것이다. 1969년에 호주의 머치슨에 떨어진 운석 조각에서 모두 74종의 아미노산이검출된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유기 분자가 운석에 실려 외계에서 지구로 ㉠ 온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A]

  한편, 이와는 달리 운석이 오히려 지구상의 생명을 멸종시켰다는 가설도 있다. 한때 지구의 주인이었던 공룡이 중생대 말에 갑자기 멸종했는데, 이에 대해 1980년에 알바레즈(W. Alvarez)는 운석 충돌을 그 원인으로 추정했다.  이때 그는 ⓐ 중생대와신생대 사이의 퇴적층인 K․T층이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는 점에 주목했다.이 K․T층에는 이리듐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 이리듐은 지구의 표면에 거의 없는 희귀 원소로, ⓓ 운석에는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중생대 말에지름 약 10km 크기의 운석이 지구에 떨어졌고, 그에 따라 엄청나게 많은 먼지가 발생하면서 수십 년 동안 햇빛을 차단한 나머지 기온이 급강하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공룡을 비롯한 대부분의 생명이 멸종되었다고 주장하였다.

  화석 연구를 통하여 과학자들은 지구 역사상 여러 번에 걸쳐 대규모의 멸종이 있었음을 알아내었다. 예컨대 고생대 말에 삼엽충과푸줄리나가 갑자기 사라졌다. 이러한 대규모 멸종의 원인에 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운석의 충돌도 그 중 하나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오늘날에는 생명의 원천이 되는 유기물이 운석을 통하여 외계에서 왔을 가능성과, 운석으로 인해 지구상의 생명이 멸종되었을 가능 성을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학자들이 많다. 하지만 지구상 유기물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그렇기에 세이건 (C. Sagan)은 외계에서 온 유기물과 지구에서 만들어진 유기물이 모두 생명의 탄생에 기여했을 것이라는 절충적인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되기까지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양하게 제기될 것이다.


18. 윗글의 내용으로 미루어 알기 어려운 것은?

① 유기 분자는 생명의 탄생에 필요한 성분일 것이다.

② 삼엽충은 운석 충돌에 의해 탄생하고 멸종했을 것이다.

③ 지구상에서 자생적으로 유기물이 생성됐을 가능성이 있다.

④ 포자설을 입증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⑤ 공룡 멸종 이후에 나타난 생물의 화석은 신생대 지층에서 발견될것이다.

 

19. 윗글의 논지 전개 방식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어느 한 주장에 입각해서 다른 주장을 논박하고 있다.

② 여러 주장의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③ 대립되는 주장을 소개한 다음 절충하여 마무리하고 있다.

④ 서로 다른 주장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⑤ 여러 주장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20. 윗글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가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타당성을 검증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② 중도적인 입장에서 현상을 설명해야 한다.

③ 최소한의 근거를 가져야 성립할 수 있다.

④ 다른 가설과 경쟁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⑤ 과학적 증거에 따라 그 운명이 결정된다.

 

21. 역사학자들은 <보기>를 바탕으로, 4~6세기경의 신라 고분에서 발견된 유리구슬의 원산지를 추론한다. [A]와 <보기>의 추론 과정이 동일 하다고 할 때, ⓐ~ⓔ 중 <보기>의 내용과 대응하지 않는 것은?

<보기>

◦ 4~6세기경에 축조된 신라 고분 금령총에서 유리구슬이 나왔다.

◦ 금령총에서 발굴된 유리구슬에서 알칼리 석회 성분이 검출되었다.

◦ 당시 아라비아에서만 알칼리 석회 성분이 포함된 유리를 생산했다.

◦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당시 신라에서는 유리를 제조하지 않았 다.

 

① ⓐ    ② ⓑ    ③ ⓒ    ④ ⓓ    ⑤ ⓔ

 

22. ㉠과 바꾸어 쓰기에 알맞은 것은? [ 1.8점]

① 투입(投入)된다는

② 수입(輸入)된다는

③ 유입(流入)된다는

④ 편입(編入)된다는

⑤ 도입(導入)된다는

 

2009년도 수능 비문학 문제 - 과학 지문

 

18. 답 ② / 미루어 알기

이 글의 세 번째 문단에서 삼엽충과 푸줄리나'의 대규모멸종의 원인으로 운석의 충돌도 그 중 하나일 가능성을 배제치 않고 있어 운석의 충돌로 삼엽충이 멸종되었을 것이라는 내용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충돌로 인해 삼엽충이 탄생했는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②는알 수가 없다.

 

19. /답④ / 논지 전개 방식의 파악

이 글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문단에서 지구 밖에서 생명의원천이 유입되었다는 가설'을, 세 번째 문단에서 운석이오히려 지구상의 생명을 멸종시켰다는 가설'을, 마지막 문단에서 외계에서 온 유기물과 지구에서 만들어진 유기물이 모두 생명의 탄생에 기여했을 것이라는 절충적인 가설이 소개되어 있다. 즉, 이 글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한 가설을 글쓴이의 주관적인 의견을 개입시키지 않고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전개되고 있다.

 

20. 답② / 정보의 확인

제시된 가설들은 나름의 근거를 바탕으로 한 과학자들의주장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설'의 조건으로 ②의 중 도적인 입장'에서 현상을 설명하는 것은 가설과는 전혀상관없는 내용이다. 이 글의 마지막 문단의 결정적인 증거(근거)가 발견될 때까지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양하게 제기될 것이다.'에서 보면, 가설은 타당성을 검증할 방법을 찾아(①)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는 한은 다양한 가설들이생겨나서 다른 가설들과 서로 경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를 통해 가설은 과학적 증거에 따라 그 운명이 결정된다(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셋째 문단에서 서로 다른 가설이 경쟁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는 ④의 내용을 추리해 낼 수 있다.

 

21. 답⑤ / 추론 과정의 파악

[A]에서는 ⓐ~ⓓ의 네 전제를 통하여 ⓔ의 결론을 이끌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론 과정이 동일하다고 하였으므로 ⓐ~ⓔ와 <보기>를 대응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 - 4~6세기경에 축조된 신라 고분 금령총에서 유리구슬이 나왔다.

ⓑ - 금령총에서 발굴된 유리구슬에서 알칼리 석회 성분이 검출되었다.

ⓒ -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당시 신라에서는 유리를 제조하지 않았다.

ⓓ - 당시 아라비아에서만 알칼리 석회 성분이 포함된 유리를 생산했다.

이렇게 볼 때 <보기>에는 제시된 신라 고분 금령총에서나온 유리구슬은 아라비아에서 들어온 것이다.'라는 전체 결론에 해당하는 ⓔ가 생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2. 답③ / 어휘의 의미 파악 및 적용

㉠의 온다는'것은 유기 분자가 운석에 실려 외계에서 지구로 흘러들어 온다'는 의미이므로 ③의 유입(流入)'이가장 적절하다.

① 투입(投入)'은 물자나 자금을 들여 넣는다는 의미

② 수입(輸入)'은 외국에서 물품 따위를 사들임 또는 외국이 사상·문화 등을 배워 들여온다는 의미

④ 편입(編入)'은 이미 짜여진 다른 부류나 단체 사이에 끼어든다는 의미

⑤ 도입(導入)'은 (기술․방법․물자 등을 외부에서 내부로) 이끌어 들임의 의미

 

반응형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