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도 수능 비문학 지문 문제 - 과학편
[35~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이누이트(에스키모) 하면 연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이글루이다. 그들의 주거 시설에는 빙설을 이용한 집 외에도 목재나 가죽으로만든 천막 등이 있다. 이글루라는 말은 이러한 주거 시설의 총칭이었으나, 눈으로 만든 집이 외지인의 시선을 끌어 그것만 일컫는 말이 되었다. 이글루는 눈을 벽돌 모양으로 잘라서 반구 모양으로 쌓은 것이다. 눈 벽돌로 만든 집이 어떻게 얼음집으로 될까? 이글루에서는 어떻게 난방을 할까?
일단 눈 벽돌로 이글루를 만든 후에, 이글루 안에서 불을 피워온도를 높인다. 온도가 올라가면 눈이 녹으면서 벽의 빈틈을 메워 준다. 어느 정도 눈이 녹으면 출입구를 열어 물이 얼도록 한다. 이과정을 반복하면서 눈 ㉠ 벽돌집을 얼음집으로 변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눈 사이에 들어 있던 공기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얼음 속에갇히게 된다. 이글루가 뿌옇게 보이는 것도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기체에 부딪힌 빛의 산란 때문이다.
이글루 안은 밖보다 온도가 높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글루가단위 면적당 태양 에너지를 지면보다 많이 받기 때문이다. 이것은 적도 지방이 극지방보다 태양 빛을 더 많이 받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다른 이유로 일부 과학자들은 온실 효과를 든다.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대부분은 자외선, 가시광선 영역의 단파이지만, 지구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는 적외선 영역의 장파이다. 단파는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지만, 복사파인 장파는 지구의 대기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지구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를 온실 효과라고 하는데, 온실 유리가 복사파를 차단하는 것과같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이글루도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장파인복사파가 얼음에 의해 차단되어 이글루 안이 따뜻한 것이다.
이글루 안이 추울 때 이누이트는 바닥에 물을 뿌린다.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지는 것을 경험한 사람은 이에 대해 의문을 품을것이다. 여름철 마당에 뿌린 물은 증발되면서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시원해지는 것이지만, 이글루 바닥에 뿌린 물은 곧 얼면서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실내 온도가 올라간다. 물의 물리적 변화 과정에서는 열의 흡수와 방출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때, 찬물보다 뜨거운 물을 뿌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바닥에 뿌려진 뜨거운 물은 온도가 높고 표면적이 넓어져서 증발이 빨리 일어나고 증발로 물의 양이줄어들어 같은 양의 찬물보다 어는 온도까지 빨리 도달하기 때문이 다.
이누이트가 융해와 응고, 복사, 기화 등의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이글루를 짓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눈으로 구조물을 만들었으며, 또한 물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였다. 이글루에는 극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경험을통해 터득한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35. 위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오늘날 이글루라는 말은 의미가 축소되어 사용되고 있다.
② 태양 빛은 이글루의 실내 온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친다.
③ 이누이트는 물의 화학적 변화를 난방에 이용하는 지혜를 지녔 다.
④ 극지방의 지면과 이글루는 같은 면적에서 받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다르다.
⑤ 이글루의 얼음과 온실의 유리는 방출되는 복사파를 차단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36. 위 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① 상반된 관점을 절충적으로 종합하고 있다.
② 과학적 근거를 들어 통념의 오류를 비판하고 있다.
③ 다른 대상과의 비교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있다.
④ 실험 결과로부터 특정한 원리를 이끌어 내고 있다.
⑤ 구체적 현상에 들어 있는 과학적 원리를 밝히고 있다.
37. 위 글로 미루어 답을 알 수 있는 질문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묶은 것은?
ㄱ. 호수가 어는 날씨에도 바다는 왜 얼지 않는가?
ㄴ. 냉동실에서 얼린 얼음의 가운데 부분은 왜 뿌옇게 보이는가?
ㄷ. 겨울에 세차를 위해 자동차에 온수를 뿌리면 왜 바로 어는가?
ㄹ. 겨울에 실외에 놓은 음료수가 얼면서 병이 깨지는 것은 왜일 까?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38. 보기 를 참조할 때, 단어의 구조가 ㉠과 다른 것은? [1점]
‘벽돌집은 재료 + 대상의 의미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벽돌로 만든 집이라는 뜻이다.
① 두부콩 ② 유리창 ③ 보리밥
④ 비단옷 ⑤ 밀짚모자
39. 위 글의 내용으로 보아 이글루의 건축 과정에서 ㉡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① 이글루 안에 피운 불
② 이글루 바닥에 뿌린 물
③ 얼음벽을 통과한 태양 빛
④ 불의 열에 의해 융해되는 눈
⑤ 이글루 안에서 발생한 복사파
2006년도 수능 비문학 지문 문제 - 과학편 (정답)
35. 답 ③ 정보의 개괄적 확인
이누이트들이 이글루가 추울 때 사용한 방법은 바닥에 물을 뿌리는 것이다. 이때 찬물보다는 뜨거운 물이 효과가 있는데, 이는 물의 물리적 변화 과정에서 열의 흡수와 방출이 일어나기 때문이라 했다. 그들은 복사, 기회의 의미는 몰랐을지라도 나름대로 그들의 생활에는 경험을 통한삶의 지혜가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했다.
[오답피하기]
①은 1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②, ④, ⑤는 3문단에서 온실 효과와의 비교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36. 답 ⑤ 내용 전개상의 특징 파악
이 글은 이글루라는 구체적인 현상에 담겨 있는 과학적원리, 즉 물의 융해와 응고, 복사, 기화 등 물의 물리적 변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 글이다.
37. 답 ③ 미루어 알기
‘ㄴ’은 둘째 단락에서 이글루가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기체에 부딪힌 빛의 산란 때문에 뿌옇게 보인다는 것으로 미루어 알 수 있는 질문이다. ‘ㄷ’은 넷째 단락에서 추운 때에 찬물보다 뜨거운 물이 어는 온도까지 빨리 도달한다고한 데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38. 답 ① 단어의 구조
㉠은 재료인 ‘벽돌’과 그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결과물인 ‘집’이 하나로 합쳐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래서 ‘앞말(벽돌)’로 만든 ‘대상(집)’을 뜻하는 말이 된다. 이와 유사한 구조가 아닌 것은 ①이다. ‘두부콩’은 앞말인 ‘두부’는 결과 물이고 뒷말인 ‘콩’이 그 재료이기 때문이다. 즉, ‘앞말(두 부)’을 만들기 위한 ‘재료(콩)’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제시된 ‘벽돌집’과는 그 구조가 다르다.
[오답 피하기]
② ‘유리(재료)’로 만든 ‘창(대상)’
③ ‘보리 (재료)’로 만든 ‘밥(대상)’
④ ‘비단(재료)’으로 만든 ‘옷(대 상)’
⑤ ‘밀짚(대상)’으로 만든 ‘모자(대상)’
39. 답 ④ 핵심 정보의 이해
이 글에는 이글루를 만드는 원리와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중요한 정보는 눈 벽돌을 쌓아서 만드는 이글루가 어떻게 얼음집으로 완성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을 풀어준 것이다. 여기에 이글루 제작의 핵심 사항인눈의 활용이 거론된다. 즉, 눈 벽돌을 쌓아 이글루를 만든 후에 이글루의 내부에서 불을 피워 일부러 눈이 녹게 만들어 그 눈으로 하여금 눈 벽돌의 사이를 메워 탄탄한 이글루를 완성되는 것이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눈 벽돌 집’이 ‘얼음집’으로 완벽하게 변모되는 것이므로 이글루에서 ‘접착제’ 구실을 하는 것은 바로 ‘눈’이라 할 수 있다.
[오답 피하기]
① 불 자체가 접착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② 이글루 바닥에 뿌린 물은 난방을 위한 것이다.
④ 언급 되지 않은 대상이다.
⑤ 이글루의 난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국어 > 비문학 지문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비문학 지문 - 과학 - 2005년 (4문항) (2) | 2020.07.22 |
---|---|
수능 비문학 지문 - 과학 - 2007년 (5문항) (4) | 2020.07.22 |
수능 비문학 지문 - 과학 - 2008년 (3문항) (2) | 2020.07.22 |
수능 비문학 지문 - 과학 - 2009년 (3문항) (2) | 2020.07.22 |
수능 비문학 지문 - 과학 - 2010년 (3문항) (4) | 2020.07.21 |
댓글